보라코딩
WW14 본문
240401
collection으로 감지하고 보내도록 변경
ㄴ kafka도 List로??
테스트 시 bean 에러 해결 (클래스 이름변경, mockBean)
ftp 파일 다 들어오는 것 감지하는 로직 추가 (recursive로 filesize 감지)
240402
- 이벤트스토밍(context map) 설계
- git pull --rebase origin feat/main
git push -f
240403
- GitLab Runner는 GitLab CI/CD 파이프라인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입니다. GitLab Runner는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되며, GitLab CI/CD 파이프라인을 실행하여 빌드, 테스트, 배포 등의 작업을 자동화합니다.
- "Min I/O"는 "Minimum Input/Output"의 줄임말로, 컴퓨터 시스템에서 필요한 최소 입출력을 의미합니다. 이는 특정 시스템이나 장치에서 발생하는 최소한의 데이터 전송량이나 입출력 작업의 최소량을 가리킵니다. 예를 들어, 데이터베이스나 파일 시스템에서는 최소한의 I/O 작업을 수행하여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최소한의 요구사항을 말할 수 있습니다.
- 테스트코드 작성 중
240404
- MSA saga 패턴 공부
- Mockito BDD 검색해보기
- aws s3 검색해보기
- @TempDir : JUnit에서 테스트 메소드가 실행될 때 임시 디렉토리를 만들고 해당 디렉토리의 경로를 테스트 메소드에 제공. 생성된 임시 폴더는 테스트가 실행을 마치고 JVM이 종료되면 자동으로 삭제
240405
Docker
ㄴ publish
ㄴ build
ㄴ load : 파일을 도커 이미지로 불러오기 (docker load -i <저장할_파일명.tar>)
ㄴ save : 도커 이미지를 파일로 저장하기 (docker save -o <저장할_파일명.tar> <이미지_이름:태그>)
- Git rebase 쓰는 이유 : rebase 시에 충돌 발생 가능성 있음 -> 이걸 내가 충돌 처리를 하고 나면 이후 관리자는 merge시 문제가 없음
이번주는 테스트코드 짜면서 많이 고민해보고 많이 해맸다.
역시 강의로 듣는 것과 실무는 또 달랐다.
신기한 테스트 세계...